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

실존주의의 전개: 하이데거, 사르트르, 카뮈 1. 하이데거: 존재의 물음과 현존재(1) 『존재와 시간』의 문제의식하이데거(1889~1976)는 후설의 제자였으나, 그의 현상학을 존재론적으로 전환했다. 『존재와 시간』(1927)은 20세기 철학을 대표하는 저작으로, 철학의 근본 문제를 다시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으로 돌려놓았다.(2) 현존재와 세계-내-존재하이데거는 인간을 현존재(Dasein)라 불렀다. 인간은 고립된 의식이 아니라, 항상 세계 속에서 타인·도구·상황과 얽혀 살아가는 존재다. 그는 이를 세계-내-존재(In-der-Welt-Sei)고 설명했다. 인간은 언제나 특정한 맥락과 환경 속에서 자신을 드러낸다.(3) 불안과 죽음하이데거는 키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아 인간 실존의 핵심을 불안(Angst)과 죽음에서 찾았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 2025. 9. 8.
마르크스주의 철학: 역사유물론과 비판이론 19세기와 20세기 철학의 전개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Marxism)는 단순한 학문적 사조를 넘어 정치·사회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사상 체계였다. 철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역사학을 아우르며, 현실 변혁을 목적으로 한 이론이라는 점에서 기존 철학 전통과 구별된다.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 18201895)는 헤겔의 변증법을 계승하면서도, 관념론적 한계를 비판하고 역사 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이라는 독창적 이론을 전개했다. 이후 20세기에는 프랑크푸르트학파가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을 발전시켜, 고전적 마르크스주의를 재해석하며 현대 사회 분석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다.1. 마르크스 철학의 형.. 2025. 9. 8.
실증주의와 과학철학: 콩트, 포퍼, 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과학은 인류 지식의 핵심 자리를 차지했다. 천문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이 급격히 발전하며 자연 현상은 점점 더 정확하게 설명되었고, 기술혁명은 인간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철학 역시 이러한 변화를 외면할 수 없었다. 철학자들은 과학 지식이 어떻게 가능한지, 과학이 다른 지식 형태와 어떤 점에서 구별되는지, 과학의 발전이 어떤 논리와 구조를 따르는지 탐구하기 위해 시작했다. 이러한 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와 과학철학(Philosophy of Science)이라는 이름으로 발전했다. 그 중심에 오귀스트 콩트(Auguste Comte), 카를 포퍼(Karl Popper), 토머스 쿤(Thomas Kuhn) 같은 사상가들이 있었다.1. 콩트: 실증주의의 창시자(1.. 2025. 9. 7.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소쉬르, 푸코, 데리다 20세기 중반 철학과 인문학의 큰 흐름 중 하나는 구조주의(Structuralism)와 그것을 비판하며 등장한 포스트 구조주의(Post-Structuralism)쳤다. 구조주의는 인간의 사고와 사회, 문화 현상을 보이는 겉모습이 아니라 그 배후의 구조를 탐구하려는 시도였다. 반면 포스트 구조주의는 구조주의의 보편성과 객관성을 문제 삼으며, 의미와 권력의 유동성을 강조했다. 이 두 흐름은 언어학·인류학·철학·문학 이론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 사유의 중요한 전환점을 형성했다.1. 소쉬르: 구조주의 언어학의 출발(1) 언어학의 혁신스위스의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1857~1913)는 구조주의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그는 언어를 단순히 단어의 집합.. 2025. 9. 7.
언어철학과 분석철학: 비트겐슈타인, 러셀, 프레게 20세기 철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철학적 탐구의 초점이 언어(Language)고 이동했다는 점이다. 고대와 중세, 근대 철학이 존재·인식·도덕과 같은 주제를 중심으로 발전했다면, 20세기 철학은 “철학의 문제란 언어의 문제다”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전환을 주도한 흐름이 바로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이며, 그 핵심 주제가 언어철학(Philosophy of Language)이었다.분석철학은 주로 영미권에서 발전한 전통으로, 논리적 분석을 통해 철학 문제를 명료화하려 했다. 그 중심에는 프레게(Gottlob Free, 1848~1925),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 1872~1970),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 2025. 9. 7.
현상학과 해석학: 후설, 하이데거, 가다머 20세기 철학은 19세기의 독일 관념론과 실존 철학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문제의식 속에서 급격히 전개되었다. 과학과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인간의 삶은 점점 더 소외되고 파편화되었다. 철학은 단순히 추상적 체계를 세우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직접 경험하는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을 요구받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두 거대한 흐름이 현상학(Phenomenology)과 해석학(Hermeneutik)이다.현상학은 독일 철학자 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rl, 18591938)에 의해 창시되었고, 그의 제자이자 후계자인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가 이를 변형해 실존론적 현상학으로 발전시켰다. 이후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 2025.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