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의역사4

과학과 기술철학: 하이데거, 엘륄, 라투르 20세기 이후 철학은 과학과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원자폭탄의 등장, 핵에너지, 정보기술, 인공지능 등은 인간의 삶과 사회를 근본적으로 재편했다. 과학은 단순히 지식을 생산하는 학문을 넘어 정치·경제·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기술은 인간 존재 자체를 규정하는 힘으로 부상했다. 과학철학(Philosophy of Science)과 기술 철학(Philosophy of Technology)은 이러한 변화를 성찰하며, 과학과 기술이 인간과 세계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는 철학의 중요한 분야가 되었다.1. 하이데거: 기술과 존재 망각(1) 기술에 대한 문제의식마르틴 하이데거(1889~1976)는 『기술에 대한 물음(Die Frag nah der Technik, 1954)』에서 기술을 단.. 2025. 9. 8.
환경철학과 생태사상: 딥에콜로지, 레오폴드, 네스 20세기 중반 이후 철학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환경(Environment)과 생태(Ecology) 문제였다.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풍요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환경 파괴,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의 위기를 초래했다. 인류가 자연을 무한히 이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만 간주한 결과였다. 이러한 현실은 철학자들에게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환경철학(Environmental Philosophy)과 생태 사상(Ecological Thought)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탄생했다.특히 알도 레오폴드(Aldo Leopold, 18871948)와 아르네! 에스(Arne Næss, 19122009)는 각각 대지 윤리(Land Ethic)와 깊은 생태학(Deep Ec.. 2025. 9. 8.
마르크스주의 철학: 역사유물론과 비판이론 19세기와 20세기 철학의 전개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Marxism)는 단순한 학문적 사조를 넘어 정치·사회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사상 체계였다. 철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역사학을 아우르며, 현실 변혁을 목적으로 한 이론이라는 점에서 기존 철학 전통과 구별된다.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 18201895)는 헤겔의 변증법을 계승하면서도, 관념론적 한계를 비판하고 역사 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이라는 독창적 이론을 전개했다. 이후 20세기에는 프랑크푸르트학파가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을 발전시켜, 고전적 마르크스주의를 재해석하며 현대 사회 분석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다.1. 마르크스 철학의 형.. 2025. 9. 8.
칸트의 비판 철학: 합리론과 경험론의 종합 근대 철학의 큰 흐름은 합리론과 경험론의 대립이었다. 합리론은 이성을 통해 확실한 지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경험론은 모든 지식이 감각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두 전통 모두 결정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합리론은 지나치게 선험적 원리에 의존해 현실 경험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경험론은 흄이 지적했듯 인과관계와 필연성을 보장하지 못했다.이 두 전통의 대립을 넘어서고자 한 철학자가 바로 임마누엘 칸트(1724~1804)다. 그는 『순수이성비판』을 비롯한 저작들을 통해 인간 이성이 어떻게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탐구했다. 칸트의 철학은 흔히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라고. 코페르니쿠스가 지구 중심에서 태양 중심으로 세계관을 뒤집었듯, 칸트는 인식의 방향을 세계에서 인간 주체로 바꾸었기.. 2025. 9. 7.